글로벌기업 뉴스

일본 국내 기업 뉴스, 글로벌기업 뉴스, 최신 뉴스

아스텔라스, 야스카와전기와 재생의료 제품 제조 플랫폼 기업 ‘셀라파 바이오사이언스’ 공동 설립

로봇 “마호로(Maholo)” 활용해 세포치료제 제조 자동화·디지털화 플랫폼 개발 아스텔라스제약주식회사(Astellas Pharma Inc.)와 주식회사 야스카와전기(Yaskawa Electric Corporation)는 재생의료 등 제품의 제조 플랫폼을 개발하고 이를 스타트업 및 학계에 제공하기 위한 합작법인 ‘셀라파 바이오사이언스 주식회사(Cellafa Bioscience Inc.)’를 설립했다고 2025년 10월 22일 발표했다. 새롭게 설립된 셀라파는, 아스텔라스제약이 보유한 세포치료제 연구개발·제약·약사규제(GMP 포함) 분야의 전문성과, 야스카와전기의 정밀 로보틱스, AI기술을 결합하여, 고정밀,고재현성 세포배양 […]

글로벌기업 뉴스, 최신 뉴스

다케다, VELA사와 세계 최초 ‘풍력선’을 통한 대서양 의약품 운송 추진

세계 최초 100% 풍력으로 항해하는 삼동선, 2026년 첫 출항 예정 다케다약품공업주식회사(Takeda Pharmaceutical Company Limited)는 해상 물류 혁신기업인 VELA Transport사(이하 VELA)와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하고, 세계 최초의 풍력 삼동선(三胴船, trimaran)을 통해 자사 의약품을 유럽과 미국 간에 운송할 예정이라고 발표했다. 이로써 다케다는 풍력 삼동선으로 의약품을 운송하는 세계 첫 바이오제약기업이 된다. VELA가 설계하고 2026년 하반기 첫 항해를 앞둔 이

글로벌기업 뉴스, 최신 뉴스

다이이찌산쿄, 항TA-MUC1 ADC(DS-3939)의 제1/2상 임상시험 결과 ESMO 2025에서 첫 발표

다이이찌산쿄 주식회사(Daiichi Sankyo Co., Ltd.)는 항TA-MUC1 항체를 기반으로 자사의 DXd ADC 기술을 활용해 개발한 여섯 번째 항체약물복합체(ADC) ‘DS-3939’의 글로벌 제1/2상 임상시험(용량증량 파트) 결과를 유럽임상종양학회(ESMO 2025)에서 처음 공개했다. 이번 임상은 이전 치료 경험이 있는 진행성 고형암 환자를 대상으로 시행되었다. 국소 진행성·전이성·절제불능 고형암 환자를 대상으로 진행 본 시험은 일본을 포함한 아시아, 유럽, 북미 지역에서 수행된 글로벌 제1/2상

글로벌기업 뉴스, 최신 뉴스

다이이찌산쿄, 랄루도타툭 데룩스테칸 글로벌 임상 2/3상 결과 ESMO 2025에서 첫 발표

다이이찌산쿄(Daiichi Sankyo Co., Ltd.)는 항CDH6 항체약물복합체(ADC)인 랄루도타툭 데룩스테칸(raludotatug deruxtecan, R-DXd/DS-6000) 의 글로벌 제2/3상 임상시험(REJOICE-Ovarian01) 중 제2상 파트 결과를 2025년 유럽종양학회(ESMO 2025) 에서 처음 발표했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는 재발성 플래티넘 제제 내성 난소암, 원발 복막암 및 난관암 환자를 대상으로 수행됐다. 이번 임상은 4.8mg/kg, 5.6mg/kg, 6.4mg/kg의 세 가지 용량으로 본제의 유효성과 안전성을 평가하는 제2상 파트와, 권장용량에서 화학요법(치료의사

글로벌기업 뉴스, 최신 뉴스

다이이찌산쿄, 전이성 요로상피암 환자를 대상으로 한 Dato-DXd(Datroway) 제2상 결과 발표

플래티넘 부적합 환자에서 ORR 68.2%, DCR 95.5% 달성… 글로벌 제2·3상 임상시험도 본격 개시 다이이찌산쿄(Daiichi Sankyo Co., Ltd.)는 자사의 항TROP2 항체-약물복합체(ADC)인 다토포타맙 데룩스테칸(Dato-DXd/DS-1062, Datroway)의 글로벌 제2상 임상시험(TROPION-PanTumor03) 중 전이성 요로상피암 환자를 대상으로 한 서브연구 결과를 2025년 유럽종양학회(ESMO 2025)에서 발표했다. 또한 전이 치료 경험이 있는 환자를 대상으로 한 글로벌 제2·3상 임상시험(TROPION-Urothelial03)에서 첫 번째 환자 투약을 개시했다. 전이성

글로벌기업 뉴스, 최신 뉴스

다이이찌산쿄, 랄루도타툭 데룩스테칸(R-DXd), 백금제 내성 난소암 2상에서 ORR 50.5% 달성

다이이찌산쿄, ESMO 2025서 REJOICE-Ovarian01 임상 결과 첫 발표 다이이찌산쿄 주식회사(Daiichi Sankyo Co., Ltd.)는 유럽임상종양학회(ESMO 2025)에서, 항CDH6 항체-약물 접합체(ADC)인 랄루도타툭 데룩스테칸(Raludotatug Deruxtecan, R-DXd, DS-6000)의 백금제 내성 난소암 환자를 대상으로 한 글로벌 임상 2/3상 시험(REJOICE-Ovarian01) 중 제2상 파트의 결과를 처음으로 공개했다. 이번 시험은 재발성 백금제 내성 난소암, 원발성 복막암, 난관암 환자를 대상으로 진행된 글로벌 임상 2/3상으로, 4.8mg/kg,

글로벌기업 뉴스, 최신 뉴스

다이이찌산쿄, 다토포타맙 데룩스테칸(Datroway), 요로상피암 2상에서 ORR 68.2% 달성

다이이찌산쿄, ESMO 2025서 TROPION-PanTumor03 및 TROPION-Urothelial03 연구 진행 현황 발표 다이이찌산쿄 주식회사(Daiichi Sankyo Co., Ltd.)는 유럽임상종양학회(ESMO 2025)에서, 항TROP2 항체-약물 접합체(ADC)인 다토포타맙 데룩스테칸(Datopotamab Deruxtecan, 제품명 Datroway, 이하 Dato-DXd)의 글로벌 임상 2상 시험(TROPION-PanTumor03) 중 전이성 요로상피암 환자를 대상으로 한 서브연구(sub-study) 결과를 발표했다. 또한, 전치료 병력이 있는 전이성 요로상피암 환자를 대상으로 한 글로벌 임상 2/3상 시험(TROPION-Urothelial03)의 첫 번째

글로벌기업 뉴스, 최신 뉴스

다이이찌산쿄, 트라스투주맙 데룩스테칸(Enhertu), 조기 HER2 양성 유방암 수술 전 치료에서 CR 67.3% 달성

다이이찌산쿄, ESMO 2025서 DESTINY-Breast11 제3상 임상결과 발표 다이이찌산쿄 주식회사(Daiichi Sankyo Co., Ltd.)는 유럽임상종양학회(ESMO 2025) Presidential Symposium에서, HER2 항체-약물 접합체(ADC)인 트라스투주맙 데룩스테칸(Trastuzumab Deruxtecan, 제품명 Enhertu, 이하 T-DXd)의 최신 임상 데이터를 발표하였다. 이번 발표에서는 재발 위험이 높은 HER2 양성 조기 유방암 환자를 대상으로 한 글로벌 3상 임상시험 DESTINY-Breast11의 결과가 소개되었다. 병리학적 완전반응률(pCR) 67.3%… 표준치료 대비 통계적·임상적 유의성

글로벌기업 뉴스, 최신 뉴스

아스텔라스, CLDN18.2 췌장선암 치료제 제2상시험 주요 평가 지표 미달 결과 발표

전이성 췌장암 대상 Zolbetuximab(졸베투시맙) 병용요법, 주요 평가 지표 달성 실패 아스텔라스 제약(Astellas Pharma Inc.)은 CLDN18.2 양성 전이성 췌장선암 환자를 대상으로 진행한 제2상 임상시험 GLEAM의 최종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연구는 CLDN18.2 양성 전이성 췌장선암 환자를 대상으로 Zolbetuximab을 젬시타빈(gemcitabine) 및 Nab-파클리탁셀(Nab-paclitaxel)과 병용 투여했을 때의 치료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실시됐다. 시험 결과, 병용요법군은 표준치료군(젬시타빈 + Nab-파클리탁셀) 대비 전체생존기간(Overall

글로벌기업 뉴스, 최신 뉴스

다이이찌산쿄, 미국 샌디에이고에 연구 이노베이션 거점 ‘Daiichi Sankyo Research Institute San Diego’ 개설

다이이찌산쿄, 미국 샌디에이고에 연구 이노베이션 거점 ‘Daiichi Sankyo Research Institute San Diego’ 개설 일본의 제약기업 다이이치산쿄 주식회사는 미국 캘리포니아주 샌디에이고(San Diego) 에 새로운 연구 이노베이션 거점인 ‘Daiichi Sankyo Research Institute San Diego’를 개설했다고 발표했다. 이번 샌디에이고 연구소는 다이이찌산쿄가 보유한 일본 내 최대 규모 연구센터 외 지역에서는 2024년에 개설된 미국 보스턴 지역 연구소, 독일 뮌헨 연구소에

위로 스크롤